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고등학교 내신등급 산출 완벽 가이드, 9등급제 vs 5등급제 쉬운 계산법

by 비바에듀4u 2025. 4. 27.

고등학교 내신등급 산출 완벽 가이드, 9등급제 vs 5등급제 쉬운 계산법

안녕하세요 비바에듀입니다.^^
2025학년도부터 고1 내신 등급제가 9등급제에서 5등급제로 변경됩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입시환경에 고등학교 내신등급 산출이 많이 헷갈리실텐데요. 이 글에서는 기존 9등급제와 새로운 5등급제를 비교하여 쉬운 계산법을 알려드리고 , 각 제도의 특징과 변화된 전략까지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내신 관리 방법과 입시 준비 팁까지 한 번에 확인하세요.


📚 목차

 


1. 내신 등급이란?

Tip:
고등학교 내신 등급은 대학 입시에 중요한 요소이며, 2025학년도부터 고1 학생들은 새로운 5등급제를 적용받습니다.

 

등급은 고등학교 재학 중 본인의 교과 성적을 상대 평가하여 부여하는 등급입니다. 수십년 전 학부모들이 입시를 준비하던 시절은 정시모집의 비중이 컸기 때문에 수능을 중심으로 공부했다면 지금은 학교 내신성적과 학생기록부를 중심으로 입학하는 수시모집이 커진 상태라 학교 내신등급이 입시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합니다.
따라서 대학 입시(수시 전형)에서 중요한 평가 요소로 사용되며, 1등급(최상위)부터 9등급(최하위)까지 나뉩니다.


2. 9등급제 내신 등급 계산법 (기존 고2, 고3)

🎯 9등급제 핵심 정리
- 같은 학교 학생들과 비교해서 평가되는 상대평가로 9가지등급으로 나뉩니다. 내가 아무리 잘해도 친구들이 더 잘하면 내 등급은 떨어집니다.
- 1등급은 상위 4% 이내,2등급은 상위11% 이내. 
- 전교 석차를 기준으로 등급이 정해집니다.

 

고등학교 내신등급 산출 쉬운 계산법

(본인 석차 ÷ 전체 학생 수) × 100

 

👉 여기서 나온갑은 9등급 기준표에 따라 맞춰봅니다.

예를 들어 본인의 전교 석차가 35등이고 전체 학생 수가 210명 이라면

 

등급 백분위 범위 (상위 %)
1등급 ~4% 이내
2등급 4% 초과 ~ 11% 이내
3등급 11% 초과 ~ 23% 이내
4등급 23% 초과 ~ 40% 이내
5등급 40% 초과 ~ 60% 이내
6등급 60% 초과 ~ 77% 이내
7등급 77% 초과 ~ 89% 이내
8등급 89% 초과 ~ 96% 이내
9등급 96% 초과

예시:
학급 인원: 100명
본인 석차: 25등
계산: (25 ÷ 100) × 100 = 25% → 4등급


3. 5등급제 내신 등급 계산법 (2025학년도 고1 적용)

🌟 5등급제 핵심 포인트
- 상대적으로 평가되는 상대평가인 것은 9등급제와 동일하나, 학생간의 경쟁이 완화되고 절대평가 성격이 강화된 제도 입니다. 
- 1등급 상위 10%이내, 2등급 30% 이내.
- 상위권 학생 비율이 증가했습니다. 

 

2025학년도 고1부터는 기존의 9등급제 대신 5등급제가 적용됩니다.
성취평가제를 기반으로, 절대평가 요소가 강조된 구조입니다.

등급 백분위 범위 (상위 %)
1등급 ~10% 이내
2등급 10% 초과 ~ 30% 이내
3등급 30% 초과 ~ 60% 이내
4등급 60% 초과 ~ 90% 이내
5등급 90% 초과

 

기본 공식:

(본인 석차 ÷ 전체 학생 수) × 100

 

예시:
학급 인원: 100명
본인 석차: 22등
계산: (22 ÷ 100) × 100 = 22% → 2등급


4. 9등급제 vs 5등급제 한눈에 비교

📝 요약 표로 쉽게 비교해보겠습니다.
- 9등급제: 학생들 간의 변별력이 높음, 상위 4%
- 5등급제: 변별력이 완화되었음, 상위 10%
구분 9등급제 5등급제
적용 대상 고2, 고3 (2025학년도) 고1 (2025학년도)
등급 수 9개 5개
1등급 기준 상위 4% 이내 상위 10% 이내
변별력 매우 높음 비교적 낮음
평가방식 상대평가 절대평가 요소 강화

5. 마무리: 바뀌는 내신제도, 전략이 달라진다!

🚀 전략 포인트
- "상위권 유지"가 더 중요해진다
- 꾸준한 관리 + 세특 (세부능력특기사항) 준비 필수!

 

2025학년도 고1부터는 고등학교 내신등급 1등급 최상위권, 즉 "잘하는 학생 수"가 늘어나기 때문에,
평균 점수 유지 + 꾸준한 관리가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특히 대학들은 내신만 보는 것이 아니라, 교과 이수 내역, 세부능력 특기사항 등도 함께 보기 때문에
학생기록부의 종합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성실하게 학교생활을 하고 능동적으로 학교의 여러활동에 참여하여 탄탄한 학생기록부를 만들어가시기 바랍니다.

더 궁금한 사항이나 의견 있으시면 댓글로 질문해주세요!


 

반응형